90년대 서울, 그 시절 우리가 사랑한 도시의 풍경

서울의 숨결이 달랐던 그 시절, 90년대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90년대 서울, 그 시절 우리가 사랑한 도시의 풍경을 떠올리면 자연스레 머릿속에 그 풍경이 그려집니다. 종로의 붐비는 거리, 명동을 가득 채우던 사람들, 그리고 탑골공원에서 장기 두시던 어르신들의 여유로운 모습까지. 그 시절 서울은 지금처럼 반짝거리는 네온사인보다, 사람 냄새가 더 진하게 배어 있었던 도시였습니다. 지금의 서울이 ‘스마트’라면, 1990년대의 서울은 ‘정겨움’이었습니다. 매연과 소음, 불편함이 가득했지만, 그 안에는 삶의 리듬이 있었고, 사람들 사이의 거리도 더 가까웠습니다.

당시 서울은 본격적인 도시 확장과 함께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지만, 아직은 아날로그 감성이 살아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강남이 막 개발되던 시기였고, 강북은 여전히 서울의 중심으로 기능하고 있었지요. 지금처럼 카페나 프랜차이즈가 아니라, 동네마다 있는 분식집, 만화방, 비디오 대여점이 청소년들의 아지트였고, 성인들에겐 다방과 포장마차가 숨 쉴 공간이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진 2층 시외버스, 종이 승차권, 아스팔트 대신 흙먼지 날리던 운동장, 그리고 노란 공중전화 부스까지… 이 모든 것이 1990년대 서울의 일상이었습니다.

사람이 주인공이던 거리, 그리고 그 풍경들

1990년대 서울의 거리 풍경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자동차보다 사람의 움직임이 더 두드러졌고, 길모퉁이마다 누군가의 이야기가 흘러나오던 시기였습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대신, 사람들은 길거리 포스터를 읽고, 벽보를 훑고, 현장 판매원의 외침에 귀를 기울이며 다녔습니다. 버스 정류장은 전광판이 아닌 종이 시간표가 붙어 있었고, ‘몇 분 뒤 도착’ 같은 안내 대신, 그냥 오는 버스를 기다리는 것이 당연했습니다.

그 시절 서울은 고층 건물보다 골목길이 기억에 남습니다. 어느 골목을 지나도 ‘쌀집’, ‘구멍가게’, ‘사진관’ 하나쯤은 있었고, 골목길 어귀마다 자전거 한 대쯤은 세워져 있었습니다. 아이들은 줄넘기, 고무줄놀이, 구슬치기를 하며 뛰어놀았고, 장난꾸러기들의 소리로 가득 찬 동네는 그 자체로 활력이 넘쳤습니다. 지금은 볼 수 없는 ‘전봇대 광고지’도 골목 풍경의 일부였고, 버려진 소쿠리와 플라스틱 의자까지도 어쩐지 정감 있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가슴에 남은 문화들

문화적으로도 1990년대 서울은 매우 독특했습니다. 거리마다 흘러나오는 노래는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김건모, 그리고 이문세의 음악이었습니다. 음반가게 앞에 사람들이 모여 신보를 듣고, 친구들과 모여 라디오를 함께 듣던 시절이었습니다. 요즘의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느렸지만, 오히려 그 느림이 주는 설렘이 있었지요.

영화관은 멀티플렉스가 아닌 단관 극장이 대부분이었고, 영화표는 종이로 되어 있었으며, 좌석 배정은 없던 때도 많았습니다. 인기작이 상영되는 날이면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게 당연했고, 좌석이 없으면 아쉽지만 다음 날을 기약했지요. 만화방은 학창시절의 피난처였고, 비디오 대여점은 가족끼리 함께 영화를 고르던 아늑한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PC방이 아닌 ‘오락실’이 청소년들의 사랑을 받던 공간이었고, 친구와 함께 철권 한 판을 하며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서울 도처에 자리한 문방구는 단순한 학용품 가게가 아니라,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작은 세계였습니다. 딱지, 스티커, 가챠, 그리고 종이 인형까지—1990년대 서울의 문화는 작고 소소했지만, 누구보다 크고 진하게 가슴에 남는 문화였습니다.

삶이 곧 도시였던 시절, 서울의 일상

그 시절 서울은 삶과 도시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습니다. 직장인들은 정장을 입고 새벽 첫차를 기다렸고, 학생들은 교복에 커다란 책가방을 메고 지하철을 타며 하루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2호선은 이미 지금처럼 순환선이었지만, 열차의 외관은 지금보다 훨씬 단순했고, 에어컨은 여름철에도 간헐적으로 나오는 수준이었습니다.

지금처럼 배달앱도 없던 시절, 배달은 오토바이 대신 자전거가 많았고, 가게에 직접 전화해야 했지요. 족발, 짜장면, 치킨을 시키면 납작한 플라스틱 그릇에 담겨 왔고, 먹고 나면 그릇을 깨끗이 씻어 다시 돌려놓는 것이 예의였습니다. 편의점은 점차 등장하던 시기였고, 아직 동네 슈퍼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리고 그 슈퍼에는 꼭 아이스크림 냉동고, 만화책 한 줄, 그리고 공터에서 놀다 들어오는 아이들을 위한 포도맛 아이스바가 있었습니다.

거리에서 벌어지는 장날 풍경도 서울의 중요한 일상이었습니다. 지금의 플리마켓과는 다른, 진짜 ‘생활 장터’였던 재래시장은 소리와 냄새, 손맛이 공존하던 공간이었습니다. 어묵 국물과 생선 비린내가 뒤섞인 풍경 속에서도, 서울은 분명히 살아 있었습니다.

서울은 변했지만, 그 시절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1990년대 서울은 지금의 서울과는 너무나 다릅니다. 건물도, 사람들의 걷는 속도도, 거리를 채우는 소리도, 심지어 공기의 냄새도 말이지요. 하지만 그 시절을 기억하는 이들의 마음속엔 여전히 따뜻한 풍경으로 남아 있습니다.

디지털은 삶을 편리하게 했지만, 아날로그는 사람과 사람을 더 가깝게 했습니다. 1990년대 서울은 바로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조금은 불편했지만, 그래서 더 서로를 의지할 수 있었고, 모든 것이 느렸지만 그 느림 속에 진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지금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갈 수는 없겠지만, 그 시절을 기억하고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서울은 다시 숨을 쉽니다. 서울의 과거는 도시의 역사가 아니라, 바로 우리의 감정이 깃든 살아 있는 기록입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